인간심리학도 공부해야 달릴 수 있는 자율주행차

자동 운전 기술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레이더나 라이더 등 자동 운전을 위한 센서 기술이 고도화한다. 카메라를 이용한 이미지 분석 기술로 사물을 분별 능력도 향상됐다. 제5세대(5G)이동 통신 상용화로 차량과 모노 간 통신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인공 지능(AI)기술이 발전하면서 자동 운전은 궁극의 “5단계”를 향하여 힘차게 달린다.

ⓒ게티이미지뱅크, 하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자율주행이 차량 통신 기반이기 때문에 해킹 위험은 항상 도사리고 있다. 자율주행 핵심인 AI의 도덕적 판단 논란인 ‘트롤리 딜레마’도 있다. 또 다른 위험 가운데 우리에게 가장 인접한 것 중 하나가 ‘돌발행동’이다.자율주행차는 도로 위 사물이나 사람을 센서로 감지해 AI가 이를 분석, 판단한다. 차를 세워야 한다고 판단하면 차를 브레이크 할 것이다. 자율주행차 입장에서는 이 같은 ‘위험요소’는 데이터로 축적되고 머신러닝으로 AI는 고도화된다. 문제는 AI가 판단하기 어려운 인간 특유의 돌발행동이다.

ⓒ게티이미지뱅크 AI는 모든 인간이 동일한 행동을 하고 예측 가능하며 이성적인 방식으로 행동한다고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AI 알고리즘도 인간이 이성적 사고를 한다는 판단 아래 구축된다. 그러나 정체된 도로에서 운전자들은 항상 이성적으로 판단하지 않는다는 데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극단적인 예를 들어보자. 2차선에 나란히 달리는 차가 2대 있다. 그런데 이 2차로가 1차로로 통합되는 구간에 도달했다. 차량 2대(A와 B) 중 누가 먼저 가나. 드라이버 A가 성급해서 먼저 치고 달리고 싶어할지도 모른다. B도 마찬가지다. 또는 A와 B 모두 여유롭고 마음이 넓은 사람이므로 상대방에게 먼저 진입하라고 속도를 줄일 수 있다. 인간의 이기심과 배려가 도로 위에서 공존할 수 있다는 뜻이다.

비보호 좌회전 구간이 있다. 왼쪽 깜빡이를 켜고 기다리고 있는 차 A와 맞은 편에서 달려오는 자동차 B가 있다. 그런데 A는 약속 시간이 급하고 B차량의 진입을 무시하고 다음에 좌회전할 수 있다. 빨리 가고 싶다는 욕심 때문이다. 이때 B자동차가 자동 운전 차라고 가정한다. B자동차의 AI는 당연히 B차가 지나간 후에 A차가 좌회전하면 예측할 것이다. 그것이 이성적이고 합리적이고 교통 법규를 지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운전하면서 이를 무시하는 A차량을 꽤 많이 보아 왔다.

ⓒ게요 티 이미지 뱅크 매사추세츠 공대(MIT)컴퓨터 과학 및 인공 지능 연구소(CSAIL)가 관심을 갖는 것도 이 부분이다. 연구소는 자동 운전 차가 어떻게 도로상의 다른 운전자 행동을 예측할지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 팀은 AI가 인간의 운전 행위의 이기심과 이타심을 알아볼 수 있도록 사회 심리학을 활용했다. 지금까지는 AI가 인식하기 어려웠던 사회적 인식 부분을 보완한 것이다.이 AI시스템은 인간의 운전자 행동 관측 이후 차로 합병이나 비보호 좌회전 구간에서 종전보다 25% 높은 정도로 차량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연구 팀 관계자는 “인간의 행동을 더욱 잘 이해하려면 그들의 의도를 밝혀야 한다”며”인간의 경쟁적 혹은 협력적 성향은 종종 어떻게 운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어 우리는 이를 계량화할 수 있는지를 노력했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연구는 아직 기초 단계다. 도로 위에서 테스트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AI가 인간의 사회심리학적 성향까지 파악하면 이성적이지 않은 돌발행동으로 인한 자율주행 사고를 미리 막을 수 있을까.테크플러스 에디터 권동준 [email protected] *네이버텍 구독하기*

*테크플러스 텔레그램 구독*

*테크플러스 텔레그램 구독*

*테크플러스 텔레그램 구독*

 

error: Content is protected !!